mint* 2021. 10. 25. 16:02
728x90

인터넷은 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집합체라고 한다. 웹은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라고 하는데

여기서 TCP/IP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잠깐 알아보기로 했다.

 

https://www.ibm.com/docs/ko/aix/7.1?topic=management-transmission-control-protocolinternet-protocol 

tcp/ip란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로 송신시 컨트롤하는 프로토콜(규칙), 통신규약이라고 한다.

tcp(전송 조절 프로토콜)과 ip(인터넷 프로토콜)로 나누어져있다고한다.

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, 패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다.(unreliable datagram service)

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,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준다.

출처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9D%B8%ED%84%B0%EB%84%B7_%ED%94%84%EB%A1%9C%ED%86%A0%EC%BD%9C_%EC%8A%A4%EC%9C%84%ED%8A%B8

 

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
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(영어: Internet Protocol Suite)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통신규약(프로토콜)의 모음이다.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중 TCP와 IP가 가장 많이 쓰이

ko.wikipedia.org

그럼 왜 대부분은 ip를 사용할까 tcp가 더 안전한데?

tcp/ip라는 말은 ip 체계를 사용하지만 tcp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통신한다는 뜻이다.(각각 따로 쓰는게 아니다)

https://aws-hyoh.tistory.com/entry/TCPIP-%EC%89%BD%EA%B2%8C-%EC%9D%B4%ED%95%B4%ED%95%98%EA%B8%B0

 

TCP/IP 쉽게 이해하기

IT 분야에서 실무를 담당하시는 분들뿐만 아니라 학생, IT 쪽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TCP/IP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. 저 또한 학부시절에 TCP/IP에 대해서 여러 번 들어보았는데요.

aws-hyoh.tistory.com

 

* 참고

https는 tcp기반 프로토콜이라고한다. 그래서 http보다 안전하구나~(http도 tc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고 한다. 소켓도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, http는 connectless, 소켓은 계속~연결되어있다.)

https://coding-start.tistory.com/208

 

네트워크 - HTTP/HTTPS 차이점, HTTPS란?

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간단하게 HTTP와 HTTPS와의 차이점을 보고 더 나아가 HTTPS에 대해 다루어보려 한다. HTTP VS HTTPS 웹 개발을 하는 개발자라면 HTTP 프로토콜이라는 것을 모르지 않을 것이다. HTTP

coding-start.tistory.com

http와 https의 차이는 https는 http에 ssl(secure socket layer)를 추가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한다.

 

암튼 tcp이야기로 넘어가서 tcp가 안전하게 통신하기위해서 3 way handshake(3가지 방식의 악수) 절차를 거친다고한다.

 

https://mindnet.tistory.com/entry/%EB%84%A4%ED%8A%B8%EC%9B%8C%ED%81%AC-%EC%89%BD%EA%B2%8C-%EC%9D%B4%ED%95%B4%ED%95%98%EA%B8%B0-22%ED%8E%B8-TCP-3-WayHandshake-4-WayHandshake

 

[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22편 ] TCP 3 Way-Handshake & 4 Way-Handshake

우선  TCP의 3-way Handshaking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 * TCP 3-way Handshake 란? TCP는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(establish)하기 위하여 three-way handshake를 사용한다. TCP 3 Way Handshake..

mindnet.tistory.com

처음에 데이터 받을 준비 되었는지 신호 받고 잘 받았는지 확인까지 한다.

속도가 오래 걸리지않을까 걱정했는데 걱정 안해도 될 것 같다.

tcp를 검색하니 udp도 나오는데(udp가 tcp보다 속도가 대체로 빠르다고한다)

https://mangkyu.tistory.com/15

 

[TCP/UDP]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

오늘은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, 쉽게 말해 데이터의

mangkyu.tistory.com

udp는 실시간 서비스에 사용된다고한다(신뢰도보다는 성능이 중요할때 사용)-라이브 스트리밍같은거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