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: 스프링 입문(김영한)
[무료] 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 - 인프런 | 강의
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반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., - 강의 소개 | 인프런...
www.inflearn.com
웹 개발 3가지 way
1. 정적 컨텐츠
2. MVC와 템플릿 엔진
3. API
1. 정적 컨텐츠
static의 파일을 그대로~ 서버에 띄우는 방법

컨트롤러가 없고 추가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없다.
2. MVC와 템플릿 엔진
MVC: Model, View, Controller
- Model: 데이터를 담는 그릇
- View: 화면 보여주기
- Controller: 서버 극단, 라우팅

추가 설명
- 모델: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관리합니다.
- 뷰: 레이아웃과 화면을 처리합니다.
- 컨트롤러: 명령을 모델과 뷰 부분으로 라우팅합니다.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Glossary/MVC
MVC - MDN Web Docs 용어 사전: 웹 용어 정의 | MDN
MVC (모델-뷰-컨트롤러)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, 데이터 및 논리 제어를 구현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입니다. 소프트웨어의 비즈니스 로직과 화면을 구분하는데 중점을 두고
developer.mozilla.org
Controller 만들기
파라미터로 name 값 얻기

html 파일

실행화면
url에 파라미터 붙이기

3. API
json 형식으로 주고받기

@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경우 ViewResolver가 아닌 HttpMessageConverter가 처리한다.
리턴 값이 객체이면 JsonConverter, String이면 StringConverter가 사용된다.
String Converter

@RequestBody란 HTTP의 body에 값을 넣어 화면을 띄우는 것이다.
페이지 소스에서 ${name}이 아닌 mae 등등의 name 값 자체를 볼 수 있다.
Json Converter
🌿API 방식이면 주로 아래와 같이 사용


static class를 만들면 class 안에 class를 만들 수 있다.
getter setter를 만들어 파라미터의 name 값을 hello 객체에 넣어 반환한다.
json으로 반환된 것을 볼 수 있다.

단축키
command+shift+enter : 자동 완성
'Spring > 스프링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B 접근 기술 (2) | 2023.01.24 |
---|---|
웹 MVC 개발 (0) | 2023.01.22 |
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(0) | 2023.01.22 |
회원 관리 - 백엔드 개발 (0) | 2023.01.22 |
spring 초기 설정 ~ 빌드+실행 (0) | 2023.01.21 |
출처: 스프링 입문(김영한)
[무료] 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 - 인프런 | 강의
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반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., - 강의 소개 | 인프런...
www.inflearn.com
웹 개발 3가지 way
1. 정적 컨텐츠
2. MVC와 템플릿 엔진
3. API
1. 정적 컨텐츠
static의 파일을 그대로~ 서버에 띄우는 방법

컨트롤러가 없고 추가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없다.
2. MVC와 템플릿 엔진
MVC: Model, View, Controller
- Model: 데이터를 담는 그릇
- View: 화면 보여주기
- Controller: 서버 극단, 라우팅

추가 설명
- 모델: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관리합니다.
- 뷰: 레이아웃과 화면을 처리합니다.
- 컨트롤러: 명령을 모델과 뷰 부분으로 라우팅합니다.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Glossary/MVC
MVC - MDN Web Docs 용어 사전: 웹 용어 정의 | MDN
MVC (모델-뷰-컨트롤러)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, 데이터 및 논리 제어를 구현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입니다. 소프트웨어의 비즈니스 로직과 화면을 구분하는데 중점을 두고
developer.mozilla.org
Controller 만들기
파라미터로 name 값 얻기

html 파일

실행화면
url에 파라미터 붙이기

3. API
json 형식으로 주고받기

@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경우 ViewResolver가 아닌 HttpMessageConverter가 처리한다.
리턴 값이 객체이면 JsonConverter, String이면 StringConverter가 사용된다.
String Converter

@RequestBody란 HTTP의 body에 값을 넣어 화면을 띄우는 것이다.
페이지 소스에서 ${name}이 아닌 mae 등등의 name 값 자체를 볼 수 있다.
Json Converter
🌿API 방식이면 주로 아래와 같이 사용


static class를 만들면 class 안에 class를 만들 수 있다.
getter setter를 만들어 파라미터의 name 값을 hello 객체에 넣어 반환한다.
json으로 반환된 것을 볼 수 있다.

단축키
command+shift+enter : 자동 완성
'Spring > 스프링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B 접근 기술 (2) | 2023.01.24 |
---|---|
웹 MVC 개발 (0) | 2023.01.22 |
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(0) | 2023.01.22 |
회원 관리 - 백엔드 개발 (0) | 2023.01.22 |
spring 초기 설정 ~ 빌드+실행 (0) | 2023.0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