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,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된다.
Spring이 시작할때 컨테이너에 가지고 들어온다.(컴포넌트 스캔)
Controller, Service, Repository
@Controller
@Autowired 사용하면 MemberController 생성시에 인자인 MemberService를 끌어와 자동으로 연결시켜준다.
@Service
MemberService를 스프링이 알 수 있도록 어노테이션을 붙여준다.
@Repository
구현체에 어노테이션 붙여주기.
스프링 빈 등록 이미지
@Autowired로 끌어온다.
- 어노테이션으로 스프링이 끌어오려면 Application와 같은 패키지여야한다.
자바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는 방법
@Bean 어노테이션을 이용한다.
자바코드로 빈을 등록하면 스프링이 관리하지않는 빈도 따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.
데이터베이스를 바꾼다면 MemberRepository의 리턴값을 return new dbMembeerRepository로만 바꾸면 된다.
DI(의존성 주입)
필드 주입, setter 주입, 생성자 주입의 3가지 방법이 있다.
가장 권장되는 방법은 생성자 주입이다.
728x90
'Spring > 스프링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B 접근 기술 (2) | 2023.01.24 |
---|---|
웹 MVC 개발 (0) | 2023.01.22 |
회원 관리 - 백엔드 개발 (0) | 2023.01.22 |
스프링 웹 개발 기초 (0) | 2023.01.21 |
spring 초기 설정 ~ 빌드+실행 (0) | 2023.01.21 |